글 하나로 JPA 지연로드, 즉시로드, 영속성 전이를 이해해보자
JPA 에서 연관관계의 자식 엔티티를 조회할때는 지연로드
(LAZY), 즉시로드
(EAGER) 방식이 있다.
이 글로 지연로드, 즉시로드 그리고 영속성 전이까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음 한다.
로드 방식 지정하는 법
지연로드 방식으로 변경 하려면 다음처럼 fetch
값을 변경한다.
- FetchType.LAZY :
지연로드
- FetchType.EAGER :
즉시로드
1
2
3
4
5
6
7
@Entity
public class Member {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 <- 요렇게
private Team team;
//..
}
기본 설정값과 이유 추측해보기
명시하지 않았을때 기본 설정 값이다.
왜 이런 식으로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을까?
다음과 같은 ~ToMany
참조를 많이 하고 있는 사용자 테이블이 있다 해보자.
사용자를 조회한다고 하면, 상품, 주문, 배송, 판매자 등 여러 정보를 다수 조회된다.
조회될 양은 참조 depth를 타고 들어갈수록 $n \times m … \times … l$ 식으로 엄청 커질 것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부담을 덜기 위해 ~ToMany
(:M) 관계는 지연로드 기본 값이다.
반면 ~ToOne
(:1) 관계는 비교적 부담이 덜 하다. 따라서 즉시로드가 기본 값이다.
본격, 들어가기 앞서
해당 글에서는 코드를 가지고 설명을 이어갈 것인데, 이를 위해 공통으로 사용할 엔티티 도메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겠다.
1
2
3
4
5
6
7
@Entity
public class Member {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Team team;
//..
}
1
2
3
4
5
@Entity
public class Team {
//..
private String name;
}
간단하게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
classDiagram
direction BT
class Member {
String name
Team team
int age
Long id
}
class Team {
String name
Long id
}
Member "1" *--> "team 1" Team
Tip
저자는 모든 연관관계를 지연로드로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즉시로드로 변경해서 사용하라 당부한다.
#지연로드
지연로드
는 값을 실제로 필요로 할때 조회가 이뤄지는 것이다.
지연로드가 필요한 이유
멤버의 나이만 출력하는 코드가 있다.
1
2
Member member = entityManager.find(Member.class, 1L);
System.out.println("멤버의 나이 : " + member.getAge());
즉시로드라 가정하고 코드를 실행해보면 :
1
2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name,t1_0.id,t1_0.name from member m1_0 left join team t1_0 on t1_0.id=m1_0.team_id where m1_0.id=?
멤버의 나이 : 25
우리가 활용하지도 않을 Team까지 join되어 한방 쿼리가 나가게된다. 이게 연관관계가 Team 하나라 다행이지, 수백개의 연관관계가 있다면 상당히 비 효율적일 것이다.
지연로드라 가정하고, 실행하면 :
1
2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name,m1_0.team_id from member m1_0 where m1_0.id=?
멤버의 나이 : 25
이렇게 join없이 단순한 쿼리만 나간다.
눈으로 지연로드를 확인해보자
이러한 엔티티 도메인에서 PK가 1인 Member를 조회하면,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다.
1
2
3
Member member1 = entityManager.find(Member.class, 1L);
System.out.println("사람 이름을 출력합니다. -> " + member1.getName());
System.out.println("팀 이름을 출력합니다. -> " + member1.getTeam().getName());
출력된 결과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name,m1_0.team_id from member m1_0 where m1_0.id=?
사람 이름을 출력합니다. -> 1번 타자 홍길동
Hibernate: select t1_0.id,t1_0.name from team t1_0 where t1_0.id=?
팀 이름을 출력합니다. -> LG Twins
여기서 눈 여겨볼 포인트는…
- 처음부터 Member 접근할때 Team까지 조회하지 않았다. (출력된 결과 line 1)
1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name,m1_0.team_id from member m1_0 where m1_0.id=?
- 실제 Team 값을 Access하려고 하자, Team조회 쿼리가 나갔다. (출력된 결과 line 3-4)
1 2 3
사람 이름을 출력합니다. -> 1번 타자 홍길동 Hibernate: select t1_0.id,t1_0.name from team t1_0 where t1_0.id=? 팀 이름을 출력합니다. -> LG Twins
member1.getTeam().getName() 이 호출될때 그제서야 쿼리가 나감.
값에 언제 접근할지 어떻게 알고 지연로드가 동작하는걸까?
지연로드가 동작하는 방식
지연로드가 동작하는 방식을 이해하려면 프록시패턴 에 대해 선행되어야 한다. 궁금하다면 필자의 이전 포스트를 참고해보자.
그래서 Proxy, 대리 (???) 로 지연로드를 도대체 어떻게 하는데?
Member객체에서 Team을 가져오는 .getTeam()
호출을 실제 Member 객체가 아니라, Member 대리 객체에게 요청하는 것이라 생각해보자.
그리고 Member 대리객체에서 .getTeam()
이 호출될때 일련의 추가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 영속성 컨텍스트 초기화 작업
- 실제 쿼리로 조회
실제로 다음 코드를 실행해서, Team의 클래스 명을 보면,
1
2
Member member1 = entityManager.find(Member.class, 1L);
System.out.println(member1.getTeam().getClass().getName());
말로만 하면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코드로 이해를 해보자.
다음과 같은 Member 객체가 있다.
1
2
3
4
5
6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Team team;
}
Member의 Proxy Object의 코드는 다음처럼 생겼을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public class MemberProxy extends Member {
private Member target = null;
public Team getTeam(){
if (target == null) {
// 초기화 작업
}
return target.getTeam();
}
}
실제로 프록시 객체가 쓰이는지 어떻게 아나??
단순하게 콘솔에 클래스 이름을 찍어보면 된다.
1
2
3
Member member = entityManager.find(Member.class, 1L);
String proxyTeamClassName = member.getTeam().getClass().getName();
System.out.println("proxyTeamClassName = " + proxyTeamClassName);
출력 결과:
1
proxyTeamClassName = kr.huni.jpabook.Team$HibernateProxy$IAL7B70F
출력된 클래스명을 확인해보면 kr.huni.jpabook.Team $HibernateProxy$IAL7B70F 원래 클래스 이름 뒤에 구질구질하게 붙어진걸 볼 수 있다. 실제 객체가 아닌 프록시 객체가 사용된다는 뜻이다.
List에선 어떻게 동작하나?
예제코드에서 List<엔티티>를 사용하지 않아서, 다른 예제 코드를 사용했다. `게시판`-`댓글`을 통해 1:M 연관관계 상황을 가정했다.엔티티>
1
2
3
4
5
6
7
8
9
10
11
12
@Entity
public class Board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PERSIST)
@JoinColumn(name = "board_id")
private Collection<Comment> comments;
// ...(생략)
}
여기에서 언급했듯, @OneToMany
이기에 자동으로 댓글은 지연로드가 된다.
Comment객체에 접근하는 board.getComments()
를 호출하면 쿼리가 나갈까?? 한번 실험해보자.
1
2
3
4
5
Board board = entityManager.find(Board.class, 1L);
System.out.println("게시물 제목 : " + board.getTitle());
System.out.println("댓글 컬렉션 접근 시작");
board.getComments();
System.out.println("댓글 컬렉션 접근 끝");
실행 결과 :
1
2
3
4
Hibernate: select b1_0.id,b1_0.content,b1_0.title from board b1_0 where b1_0.id=?
게시물 제목 : 제목
댓글 컬렉션 접근 시작
댓글 컬렉션 접근 끝
하지만, 댓글 조회 쿼리가 나가지 않았다. 바로 다음 코드를 실행해보자.
1
2
3
4
5
6
7
8
Board board = entityManager.find(Board.class, 1L);
System.out.println("게시물 제목 : " + board.getTitle());
System.out.println("댓글 컬렉션 접근 시작");
board.getComments().forEach(comment -> {
System.out.println("댓글 내용 : " + comment.getContent());
});
System.out.println("댓글 컬렉션 접근 끝");
실행 결과 :
1
2
3
4
5
6
7
8
Hibernate: select b1_0.id,b1_0.content,b1_0.title from board b1_0 where b1_0.id=?
게시물 제목 : 제목
댓글 컬렉션 접근 시작
Hibernate: select c1_0.board_id,c1_0.id,c1_0.content from comment c1_0 where c1_0.board_id=?
댓글 내용 : 댓글1
댓글 내용 : 댓글2
댓글 내용 : 댓글3
댓글 컬렉션 접근 끝
단순 getComments()
로는 쿼리가 안나가고getComments().forEach()
, getComments().size()
처럼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려 할 때 쿼리가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로 프록시 객체가 쓰이는지 어떻게 아나?? 처럼, 이것도 클래스명을 찍어보자.
1
System.out.println(board.getComments().getClass());
실행 결과 :
1
class org.hibernate.collection.spi.PersistentBag
컬렉션은 PersistentBag
으로 Wrapping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즉시로드
앞서 말했듯 기본적으론 즉시로드를 하며, 이때 참조되는 테이블은 join
으로 조회된다.
(참고) 즉시로드에서 Join 전략
PK가
nullable
하지 않다면, 이를 명시함으로써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SQL에서 Join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SQL의 조인 참고. 기본적으로 JPA에서 연관관계를 명시할땐 PK가 Nullable
하다는게 기본 설정이다. 엔티티 클래스에서 PK가 Nullable
로 명시되어 있으면 Outer Join으로 쿼리가 나가고,
1
select m1_0.id,m1_0.age,m1_0.name,t1_0.id,t1_0.name from member m1_0 left join team t1_0 on t1_0.id=m1_0.team_id where m1_0.id=?
Nullable
하지 않다면 Inner Join 으로 쿼리가 나간다.
1
select m1_0.id,m1_0.age,m1_0.name,m1_0.team_id,t1_0.id,t1_0.name from member m1_0 join team t1_0 on t1_0.id=m1_0.team_id where m1_0.id=?
추가적으로 : @JoinColumn
에 nullable
를 명시해주어도 똑같은 기대값을 가진다.
영속성 전이 및 고아 관리
영속성 전이
⚠️주의사항 : 영속성 전이는 이전에 언급했던 지연로드, 즉시로드 와는 1도 연관이 없다. (혼동 주의!!)
cascade
옵션을 통해 자식에게 어떠한 cascade
를 전파할지 지정할 수 있다. 쉽게 말해, 부모를 생성할때 자식도 같이 생성한다던지, 부모를 지울때 자식을 같이 지운다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보통 부모와 자식의 생명주기가 똑같고, 자식을 하나의 엔티티에서 관리할때 쓴다고 한다.
어떤 옵션들이 있는지 대략적으로 살펴보자.
CascadeType.PERSIST
영속성을 자식에게도 전파한다.
나는 LG 트윈스
소속 문성훈
데이터를 추가하려고 한다.
그래서 아래같은 코드를 짰고, 실행시켰다.
1
2
3
4
5
6
7
8
9
10
11
Member member = Member.builder()
.name("문성훈")
.age(30)
.build();
Team team = Team.builder()
.name("LG 트윈스")
.build();
member.setTeam(team);
entityManager.persist(member); // member만 저장
그러자 다음 에러가 떴다.
1
2
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ApiUsageException: org.hibernate.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 kr.huni.jpabook.Member.team -> kr.huni.jpabook.Team
at org.springframework.orm.jpa.EntityManagerFactoryUtils.convertJpaAccessExceptionIfPossible(EntityManagerFactoryUtils.java:368) ~[spring-orm-6.1.2.jar:6.1.2]
에러 요약 : save the transient instance before flushing
문성훈이 속한 팀(FK)이 저장되지 않아 생긴 오류이다. 그래서 .persist(team)
을 추가하여 Team도 영속성에 집어 넣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Member member = Member.builder()
.name("문성훈")
.age(30)
.build();
Team team = Team.builder()
.name("LG 트윈스")
.build();
member.setTeam(team);
entityManager.persist(member);
entityManager.persist(team); // 추가된 부분 (팀도 같이 저장)
하지만 영속성 전이
설정을 하면 이럴 필요가 없다.
영속성 전이 설정을 추가한 코드:
1
2
3
4
public class Member {
// 생략...
@ManyToOne(cascade = CascadeType.PERSIST) // 추가된 부분
private Team team;
자 이제 다시 실행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Member member = Member.builder()
.name("문성훈")
.age(30)
.build();
Team team = Team.builder()
.name("LG 트윈스")
.build();
member.setTeam(team);
entityManager.persist(member); // member만 저장
1
2
Hibernate: insert into team (name) values (?)
Hibernate: insert into member (age,name,team_id) values (?,?,?)
부모 객체만 .persist()
했을 뿐인데, 자식 객체까지 새롭게 insert
되었다. 이렇듯 CascadeType.PERSIST
는 자식에게도 영속성을 전파하는 설정이다.
주의사항
다양한 조건에서 실습하다가 확인하게 된 것인데…
~ToOne
관계에서 CascadeType.PERSIST
를 주지 않고, 부모만 저장하려 했을 때 CascadeType.PERSIST처럼 오류가 발생했다. 하지만 ~ToMany
관계에선 오류는 발생하지 않았고, 그냥 자식이 무시된 채로 부모만 저장되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ublic class Board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OneToMany // 영속성 옵션 없음!
@JoinColumn(name = "board_id")
private Collection<Comment> comments;
}
게시물
-댓글
도메인이 있고, 아래 코드를 통해 실행을 했는데…
1
2
3
4
5
6
7
8
9
Board board = new Board("제목", "내용"); // 게시물 생성
Comment comment = new Comment("댓글1"); // 댓글 생성
Comment comment2 = new Comment("댓글2"); // "
Comment comment3 = new Comment("댓글3"); // "
board.addComment(comment);
board.addComment(comment2);
board.addComment(comment3);
entityManager.persist(board); // 게시물만 저장
실행 결과 :
1
2
3
4
Hibernate: insert into board (content,title) values (?,?)
Hibernate: update comment set board_id=? where id=?
Hibernate: update comment set board_id=? where id=?
Hibernate: update comment set board_id=? where id=?
이런 로그가 나왔고, 게시물(부모)는 저장 되었는데 자식(댓글)은 저장되지 않았다. 이전과 달리 그 어떤 에러도 없었다.
하지만 CascadeType.PERSIST
옵션을 주니깐 댓글까지 제대로 저장되었다. 오류는 뜨지 않았으니, 기록용으로 이렇게 남겨둔다.
CascadeType.REMOVE
부모 삭제시 자식까지 같이 삭제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부모를 삭제하면 자식의 FK가 NULL
로 설정된다. 하지만 CascadeType.REMOVE
를 사용하면, 부모 삭제시 자식도 같이 삭제된다.
CascadeType.MERGE
부모를
Merge
할 때, 자식까지 같이Merge
한다.
책에선 이 옵션을 제대로 다루진 않았는데, 아마도 em.merge()
를 통해서 준영속 -> 영속 상태로 바뀔때 자식 까지 모두 영속 상태로 변경하는 듯 하다.
CascadeType.REFRESH
부모를
Refresh
할때, 자식까지 같이Refresh
한다.
CascadeType.DETACH
부모를
Detach
할때, 자식까지 같이Detach
한다.
이것도 아마 em.detach()
를 통해 영속 -> 준영속 상태로 변경할때 자식까지 모두 준영속으로 변경하는 듯 한다.
CascadeType.ALL
상기된 모든 설정을 자식에게도 전파한다.
옵션 값 여러개 주는 방법
{ .. }
로 wrapping 하여 설정을 여러개 할 수 있다.
1
2
@ManyToOne(cascade = { CascadeType.PERSIST, CascadeType.MERGE })
private Team team;
고아 관리
고아
(orphan)는말 그대로 부모를 잃은 자식 객체를 의미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관관계가 끊어져서 FK가 NULL
이 됨을 의미한다. 만일 NULL
값으로 UPDATE
하는게 아닌, 삭제를 하고싶으면 orphanRemoval = true
를 사용하면 된다. 기본 값은 FALSE
이다.
⚠️ 주의사항 : 수년전부터 이어져온 버그 때문에
CascadeType.PERSIST
(또는 ALL)와 같이 사용해야 동작한다. 그렇지 않으면 DELETE 쿼리가 나가지 않는다.
1
2
3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PERSIST, orphanRemoval = true) // :주의:
@JoinColumn(name = "board_id")
private Collection<Comment> comments;
@ManyTo~
(N:) 관계에선 설정할 수 없다. 왜냐면 고아 객체를 가지고 있던 게 Many
니깐, 다른 데이터에서 자식을 참조하고 있다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연관관계를 끊어 보겠다.
다음 코드는 게시물에서 “댓글1” 내용의 댓글을 지우는 코드이다.
1
2
Board board = entityManager.find(Board.class, 23L);
board.getComments().removeIf(comment -> comment.getContent().contains("댓글1"));
1
2
3
4
Hibernate: select b1_0.id,b1_0.content,b1_0.title from board b1_0 where b1_0.id=?
Hibernate: select c1_0.board_id,c1_0.id,c1_0.content from comment c1_0 where c1_0.board_id=?
Hibernate: update comment set board_id=null where board_id=? and id=?
Hibernate: delete from comment where id=?
FK가 NULL
=> 연관관계가 끊어진 데이터가 삭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CascadeType.REMOVE와 뭐가 다른데?
CascadeType.REMOVE
는 단순히 부모를 삭제하면 자식도 같이 삭제된다는 것이다.
1
entityManager.remove(부모)
하지만 orphanRemoval = true
는 부모와 자식의 연관관계가 끊어지면(자식의 FK 값이 NULL
로 UPDATE되는 상황), 자식이 자동으로 삭제되는 것이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